분류 전체보기 1515

유하 자라는 모습(2024.11.14)콩나물 자라듯이 그새 부쩍 컸다는 생각도~

우주의 메시지 / 한규동  마스크를 쓴 사람들이 건널목에 서있다 모두 입을 막아 놓았다 너무 많은 이야기를 하고 살았나 눈에 보이지 않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입과 입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침투하여 숨을 멈추게 한다고 경고를 한다 그동안 악악거리며 침 튕기며 살아온 내 삶의 부메랑일까? 사회적 거리를 두고 입을 막고 살라 한다 묵언으로 참선하라는 계시일까? 녹색등이 들어오자 길을 건넌 사람들 지구의 저편으로 건너가고 있다 삶의 거리를 두고 각자의 삶을 돌아보라 한다 콩나물 자라듯이 그새 부쩍 컸다는 생각도 들었고 하루하루가 다르다는 생각이 들기도~

2024.12.29

유하 자라는 모습(2024.11.11)아무 탈없이 무럭무럭 잘 자라고 있는 손주를 볼 때면~

매일 웃는다 / 최금녀  한 집에서 두 사람의 영혼이 산다 한 사람이 거실에서 티브이를 보면 한 사람은 부엌에서 시를 쓴다 아이들은 우리 사이를 위험하다고 한다 나는 괜찮다고 받는다  심심해서 보일러 온도를 높인다 심심해서 말의 온도를 낮춘다 한 사람과 또 한사람이 웃는다 말이 안되는 말은 서로 뽑아준다 맹세들도 버리는 중이다  선물을 주고 받는다 고맙다는 말을 하나씩 나누워 가진다 한 사람 같은 두 사람이 웃는다 아무 탈없이 무럭무럭 잘 자라고 있는 손주를 볼 때면 그저 고맙다는 생각이~

2024.12.29

애기봉평화생태공원(2024.12.14)장모님을 모시고 마눌님과 함께 찾았는데 이런저런 많은 생각들이~

크리스마스트리로 유명했던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에 위치한 애기봉평화생태공원을 미리 예약을 하고 마눌님과 함께 장모님을 모시고 찾았는데 장모님께서 연로하셔서 평화생태전시관까지 자차를 이용해서 올라갈 수 있었다. 일반인들은 매표소 주위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셔틀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애기봉평화공원 평화생태전시관 앞에 있는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먼저 조강전망재를 찾아보고 마지막에 평화생태전시관과 해병대전적비를 찾았다.   연로하신 장모님께서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흔들다리를 건널 수 없어서 평화생태전시관으로 되돌아가서 모셔다 놓고 마눌님과 들바람만 애기봉 조강전망대를 찾았는데 평화생태전시관 안에도카페와 다양한 볼거리가 많고 조강도 볼 수 있다.        애기봉 평화생태전시관과 문수산..          여..

2024.12.18

관악산(2024.11.29)11월이 끝날쯤 이틀 동안 117년만에 기록적인 폭설이~

서울에 11월이 끝날쯤 이틀 동안 117년만에 기록적인 폭설이 내려산행 생각 때문에 회사일이 손에 잡히지 않을 정도였고때마침 눈이 그친 다음날이 휴무라서 눈 뜨자마자 보따리를 챙겨서 관악산으로 달려갔는데 생각한 대로 설경이 무척 아름다웠다~   관악산 눈 산행을 하기 위해서 사당역 4번출입구를 나와서 관음사 조금 못미친 곳에서 산행을 시작했다.   관음사 조금 못미친 곳에 있는 관악산 들머리에서 아이젠과 스패츠를 착용하고 산행을 시작~    관악체력센터..     우면산 구룡산 대모산으로 이어진 마루금..    들바람 일터가 있는 곳을 바라보는데 이런저런 생각들이~   무모한 산행은 밥숟가락 놓고 염라대왕 앞으로 가는 지름길이라서눈이 많이 쌓인 관음봉을 우회해서 계단을 타고 올랐다.          텅 ..

2024.12.10

충남 부여군 여행(2024.11.22)궁남지

부여 궁남지(扶餘 宮南池)는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東南里)에 있고  ‘마래방죽’이라고도 하며 백제의 별궁이다. 부여읍에서 남쪽으로 약 1km 지점에 있으며, 동쪽에는 초석(礎石)이 남아 있고, 주변에 옛 기와가 많이 산재하여 있다. 또 부근에는 대리석을 3단으로 쌓아올린 팔각형의 우물이 있는데, 지금도 음료수로 사용되고 있다.   부여 궁남지(扶餘 宮南池)는 백제 무왕(武王)의 출생설화와도 관계가 있다. 무왕의 부왕인 법왕(法王)의 시녀였던 여인이 못가에서 홀로 살다 용신(龍神)과 통하여 아들을 얻었는데, 그 아이가 신라 진평왕(眞平王)의 셋째딸인 선화공주(善花公主)와 결혼한 서동(薯童)이며, 아들이 없던 법왕의 뒤를 이은 무왕이 바로 이 서동이라는 것이다.   부여 궁남지 설화는 이곳이 별궁터였고..

2024.12.08

충남 부여군 여행(2024.11.22)부여 왕릉원

부여 왕릉원(扶餘 王陵園)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있는 백제 때의 무덤들이며 부여에서 논산쪽으로 3km 정도 떨어진 산의 남쪽 기슭에 있다.    부여 왕릉원은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부여 능산리 고분군'으로 불렸으나, 2021년 9월 '부여 왕릉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부여 왕릉원 탐방 순서는 매표소-부여왕릉원-의자왕단-능산리사지-부여왕릉원 아트 뮤지엄-매표소   ● 충청남도 공주시 여행 코스.. 1. 마곡사(2024.11.20)..2. 연미산 자연미술공원(2024.11.20)..3. 고마나루(2024.11.20)..4. 공주박물관, 공주한옥마을(2024.11.21)..5. 무령왕릉과 왕를원(2024.11.21)..6. 황새바위 천주교순교유적(2024.11.21..

2024.12.08

충남 부여군 여행(2024.11.22)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國立夫餘博物館)은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의 국립박물관으로 백제 말기 때인 사비시대의 백제 유물과 삼국시대의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부여박물관은 1929년 부여고적보존회가 발족되면서 백제관을 개관한 이후 약 80여 년의 긴 역사를 지닌 박물관으로 충남 서부지역의 선사문화와 백제 문화유산 보존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부여분관에서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승격한 후 1993년 8월 현재의 건물로 이전하였으며 상설전시실에는 제1,2,3전시실과 기증유물실을, 야외전시실에는 부여석조를 비롯 다수의 석조유물이 전시되고 있다. 제1전시실에서는 청동기부터 사비백제 이전 유물, 제2전시실에는 사비백제 유물, 제3전시실에는 백제의 불상이 전시되고 있다. 상설전시실과 기증유물실을 포함..

2024.12.08

충남 부여군 여행(2024.11.22)정림사지박물관, 정림사지

전날 밤 야경이 아름다워서 찾았던 부여 정림사지를 다시 찾았는데 정림사지박물관부터 찬찬히 살펴보았다.   ● 충청남도 공주시 여행 코스.. 1. 마곡사(2024.11.20)..2. 연미산 자연미술공원(2024.11.20)..3. 고마나루(2024.11.20)..4. 공주박물관, 공주한옥마을(2024.11.21)..5. 무령왕릉과 왕를원(2024.11.21)..6. 황새바위 천주교순교유적(2024.11.21)..7. 공산성(2024.11.21)..8. 석장리 유적(2024.11.21).. ● 충청남도 부여군 여행 코스.. 1. 백제문화단지, 정림사지(2024.11.21)..2. 낙화암, 고란사, 고란사선착장(2024.11.22)..3. 부소산성(2024.11.22)..4. 구드래나루터선착장(2024.11...

2024.12.07

충남 부여군 여행(2024.11.22)구드래나루터선착장

구드래나루터선착장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나루터로에 위치하고 있으며 황포돛배를 타고 백마강을 일주할 수 있는 곳이다. 황포돛배는 옛 돛배를 그대로 재현한 것으로 길이 19.8m, 폭 4.5m, 약 47명 정도의 인원이 승선 가능한 규모로 외형은 옛 모습 그대로를 복원하고 내부는 편의 시설과 안전설비를 갖춰 안전도를 높였다. 또한 광목을 황토물에 삶아 색을 낸 넓은 돛이 아름다움을 더해준다. 항포 돛배는 3.5km 구간에 걸쳐 왕복 운항을 하며, 백마강을 거닐며 부산소의 아름다운 전경을 한눈에 담고, 삼천궁녀가 몸을 던졌다는 낙화암을 눈앞에서 바라보는 경험을 선사한다.   부여 구드래는 백제 사비도성의 입항지와 관련된 유적이다. 부여 구드래는 부여 부소산 서쪽 기슭의 백마강가에 있는 나루터 일대를 이르는..

2024.12.07

충남 부여군 여행(2024.11.22)부소산성

부여 부소산성(扶餘 扶蘇山城)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에 있는 백제시대의 산성으로 사비성(泗沘城)이라고도한다. 이 산성은 부소산의 산정을 중심으로 해서 1차적으로 테뫼식(式) 산성을 축조하고, 다시 그 주위를 포곡식(包谷式)으로 약 1.5km에 걸쳐서 축조하였다. 현재 반월루(半月樓)가 있는 곳에서 산정을 두른 약 600m의 테뫼식 산성 안에는 영일루(迎日樓)와 군창지(軍倉址) 그 밖의 건물터 등이 있는데, 이곳에서는 탄화미(炭化米)가 많이 나오고 있는가 하면 토축(土築) 성벽도 완연히 남아 있다. 이 부소산성은 538년(성왕 16) 웅진(熊津)에서 이곳으로 천도한 때를 전후하여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 충청남도 공주시 여행 코스.. 1. 마곡사(2024.11.20)..2. 연미산 자연미술..

2024.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