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가 있는 날 혼란스런 속세를 피해서
개나리꽃과 진달래꽃도 볼겸 사패산과 도봉산을 찾았는데
의정부시청역 2번출입구에서 산행을 시작~
사패산 들머리는 의정부시청역 2번출입구 바로 옆에 있다.
직동근린공원..
의정부시청 뒤에서 사패산으로~
아름다운 노란 개나리꽃을 바라보는데
때마침 잘 찾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나리는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관목으로
연교 또는 신리화라고도 하며 높이 약 3m까지 자란다.
가지 끝이 밑으로 쳐지며, 잔가지는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점차 회갈색으로 변하고 껍질눈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며 톱나가 있고 길이 3~12cm이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황록색인데 양쪽 모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 1~2cm이다.
3~4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노란색 꽃이 1~3개씩 피며 꽃자루는 짧다.
꽃받침은 4개이며 녹색이다.
화관은 길이 2.5cm 정도이고 끝이 4갈래로 깊이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형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관에 붙어 있으며 암술은 1개이다.
암술대가 수술보다 위로 솟은 것은 암꽃이고,
암술대가 짧아 수술대 밑에 숨은 것은 수꽃이다.
열매는 9월에 삭과로 달리는데, 길이 1.5~2cm이고 달걀 모양이다.
번식은 종자로도 하지만 가지를 휘묻이하거나 꺾꽂이로 한다.
수술이 암술 위로 솟아서 수꽃..
암술이 수술 위로 솟아서 암꽃..
개나리는 한국이 원산지이며 학명은 Forsythia Koreana,
영어로는 Korean Forsythia..
사패산은 진달래꽃으로 울긋불긋 물들어가고 있는 중~
진달래꽃 / 이정록
그럭저럭 사는 거지
저 절벽 돌부처가
망치 소리를 다 쟁여두었다면
어찌 요리 곱게 웃을 수 있겠어
그냥저냥 살다보면 저렇게
머리에 진달래꽃도 피겠지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진행해서 사패산을 찾아보고
다시 되돌아와서 자운봉으로~
사패산과 햄버거바위..
햄버거바위는 들바람이 작명했는데 지도에는 갓바위로 표시..
사패산(賜牌山)은 선조의 여섯째 딸인 정휘옹주가
유정량에게 시집갈 때 하사한 산이라고 해서
이름이 유래..
사패산(賜牌山)은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호원동과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 경계에 위치한 높이 552m 산..
도봉산 지도..
사패산 도봉산 연계산행은 의정부시청역에서 시작해서
북한산우이역에서 마친 산행..
의정부시청역 2번출입구에서 사패산으로 진행~
사패산 도봉산 연계산행은 북한산우이역 2번출입구에서 마침..
아름다운 개나리꽃과 진달래꽃에도 취하고 소맥에도 취해서
휴식 시간이 조금 길었던 사패산 도봉산 연계산행~
사패산에서 도봉산 포대능선을 바라보는데
한폭의 동양화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오봉 상장능선 인수봉 백운대를 바라보는데
지난 산행이 아련히..
북한산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노고산..
개명산 형제봉 뒤로 고령산과 박달산을 바라보는데
지난 산행들이 주마등처럼 스치기도..
사패산에서 숨고르기를 하고 나서 자운봉으로~
산불감시초소를 바라보는데 올봄에 유독 심했던 산불 생각이..
신선대 자운봉 만장대 선인봉으로 이어진 포대능선..
자운봉 망월사 갈림길..
포대능선 유래..
노약자는 도봉산 Y계곡을 우회하는 것을 강추..
포대능선 정상..
사패산으로 이어진 포대능선..
수락산과 불암산..
도봉산 신선대 자운봉 만장봉 선인봉..
도봉산 Y계곡 입구..
도봉산 Y계곡..
신선대 자운봉 만장봉 선인봉..
도봉산(道峰山)은 서울시 도봉구와 양주시 의정부시에 위치한 높이 740.2m 산..
우이암과 오봉 여성봉 갈림길..
우이능선과 북한산..
도봉산에서 일용할 양식은 인절미~
도봉산 오봉..
도봉산 주봉 신선대 자운봉 만장봉 선인봉..
소귀를 닮아서 이름이 유래된 우이암(牛耳巖)을 바라보는데
왠지 아주 실한 남근석(男根石)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12년 전 2013년 8월 충청북도 제천시에 위치한
작성산 동산 작은동산 산행이 문득 떠올랐다.
생강나무는 녹나무목 녹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산지의 계곡이나 숲 속의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3~6m로 자라며 나무껍질은 회색을 띤 갈색이며 매끄럽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원형이며 길이가 5~15cm이고
윗 부분이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3개의 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1~2cm이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3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노란색의 꽃들이 여러개 뭉쳐 꽃대 없이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화피 조각 6개와 9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화피 조각 6개와 1개의 암술, 그리고 헛 수술 9개가 있다.
작은꽃자루는 짥고 털이 있다.
열매는 장과이고 둥글며 7~8mm이고 9월에 검은 색으로 익는다.
산수유와 생강나무는 꽃이 피는 시기가 같고 꽃 모양이 같아서 구별이 쉽지 않다.
산수유 꽃은 양성화(암, 수꽃 한 몸체)인데 꽃자루가 있고
열매가 붉게 익는다.
산수유 수피는 상처가 나서 생긴 딱지처럼 거칠고 갈라진다.
생강나무 꽃은 단성화(암, 수꽃 따로)인데 꽃자루가 없고
열매가 검게 익는다.
생강나무 수피는 회갈색으로 매끈하다.
산괴불주머니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현호색과의 두해살이풀로서
습한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40cm이다.
원줄기는 속이 비고 곧게 자라며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흰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2회 깃꼴로 갈라지며 길이 10∼15cm,
나비 4∼6cm이다.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이며 다시 깃처럼 갈라지고
마지막갈래조각은 줄 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4∼6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길이 2∼2.3cm이고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포는 달걀 모양 바소꼴이고 때로 갈라진다.
화관은 끝이 입술 모양으로 갈라지고 밑부분은 꿀주머니로 된다.
수술은 6개이며 다시 2개씩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蒴果)로서 줄 모양이며,
종자는 둥글고 검은빛이며 겉에 가늘고 오목한 점이 흩어져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헤이룽강,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원통사(圓通寺)는 서울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 조계사 소속 사찰이다.
신라 시대인 863년(경문왕 3)에 도선 국사가 창건하였고,
1928년 비구니 자현(慈賢)이 주지로 부임하여
퇴락한 절의 중건을 발원하고 설악산의 승려 춘성(春城)을 청하여
천일 관음 기도를 올려 1929년에 불전을 중건하였다.
원통사에서 바라본 우이암..
봄날 / 김호균
고개를 넘자
봄 밭에서
라면발 같은
아지랑이 어질어질하다
무덤 속에서 허리 지지고 누워있던 사람 하나
한숨 잘 잤다며
벌떡 일어나
살아 돌아올 것 같다
연분홍 치매 / 박문희
할머니 오늘도
아들이 12시 차로 올 거라며
복도 끝만 바라봅니다
해가 서산에 걸리도록
같은 노래만 흥얼거립니다
연분홍 치매가 봄바람이 시날리드라
두 볼이 지는 해에
볼그레 물듭니다
연분홍 치매가 오늘도
꽃시절에 멈췄습니다
※ 치매는 여성들이 입는 치마 경상도 사투리
개나리꽃 / 문철호
어젯밤
널 그리다 잠 못 이룬
별이
쏟아져
오늘 아침
꽃으로 활짝 피었네
혼란스런 속세로 내려와서 컵라면에 소맥을 마시는데
이런저런 많은 생각들이..
봄길 / 이수미
어슴어슴 저녁 퇴근길
집으로 향하는 골목길 담장에
몽실몽실 무리지어 피어있는
올망졸망 노란 아기별들
깜박깜박
깜한 밤을 수 놓으며
꽃동네를 밝히네
피곤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노랑 별똥별에 소원을 빌어보네
봄날 저 끝자락 어디쯤
보고픈 당신이 서 계시길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가 있는 날 혼란스런 속세를 피해서
사패산에서 도봉산으로 산행을 하면서 노란 개나리꽃과
울긋불긋 산을 물들이고 있는 진달래꽃을 바라보는데
시기적절할 때 참 잘 찾았다는 생각이 들었던 산행~
언제 : 2025년 4월 4일
어디 : 의정부시청역 2번출입구-직동근린공원-범골능선-사패산-
산불감시초소-포대능선-Y계곡-도봉산 자운봉과 신선대-
우이암-원통사-북한산우이역 2번출입구
산행 시간 : 08시 33분~15시 54분
날씨 : 찬바람과 미세먼지
'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악산(2025.4.28)이곳이 천상의 화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0) | 2025.05.04 |
---|---|
영취산(2025.4.10)진달래꽃이 정상 주위에 남아 있어서~ (0) | 2025.04.29 |
개화산 치현산 궁산(2025.3.11)이러저런 생각이 많았고 깊기도 했던~ (1) | 2025.03.23 |
매조산 건자(심리)산 장령산 대자산(2024.12.26)2024년 갑진년(甲辰年) 마지막 산행~ (1) | 2024.12.30 |
관악산(2024.11.29)11월이 끝날쯤 이틀 동안 117년만에 기록적인 폭설이~ (1)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