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8

봉제산(2021. 4. 3)봄비가 부슬부슬 내렸지만 이 계절에만 볼 수 있는 아름다운 풍경을 보고 싶어서~

봄비가 부슬부를 내렸지만 이 계절에만 볼 수 있는 풍경을 보고 싶어서 우산 들고 살금살금 나와서 봉제산을 찾았다~ 봉제산(鳳啼山)은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한 높이 105m 산.. 봉제산 국기봉은 GPS에서 매봉산으로 표시된다.. 법성사(法性寺).. 법성사(法性寺)는 서울시 강서구 등촌로에 위치한 사찰로서 창건에 대한 기록은 자세히 남아 있지 않았으나, 다만 200여년 전 벽암 스님이 초가로 작은 토굴을 짓고 수행하던 것이 법성사의 시초가 되었다고 전한다. 봉제산은 왕릉이 들어설만한 곳으로 고려되었으나 반란이 일어날 형국이라 하여 포기되었던 곳으로 봉황이 알을 품고 있는 모양새라고 전해지고 봉제산 이름도 이런 이유에서 유래되었다.. 법성사는 2014년에 대한불교조계종에 소속이 되었다.. 황매화는 쌍떡잎식물 ..

2021.04.04

사패산 도봉산(2021.4.2)개나리꽃과 진달래꽃이 화사하면서도 아름답게 피어 있어서 눈이 아주 호강을 했던~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먼 지방 산 가기가 마땅치 않아서 오랜만에 사패산 도봉산 연계산행을 하기 위해 의정부시청역 2번출입구에서 산행을 시작~ 사패산 들머리는 의정부시청역 2번출입구 옆에 있다. 의정부시청 뒤에서 사패산으로 진행~ 좌측은 의정부시청.. 개나리는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관목으로 연교 또는 신리화라고도 하며 높이 약 3m까지 자란다. 가지 끝이 밑으로 쳐지며, 잔가지는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점차 회갈색으로 변하고 껍질눈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며 톱나가 있고 길이 3~12cm이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황록색인데 양쪽 모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 1~2cm이다. 3~4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노란색 꽃이 1~3개씩 피며 꽃자루는 짧다. 꽃받침은 4개이며 ..

2021.04.03

매봉산 지양산 와룡산(2021.3.31)계남근린공원에서 아름다운 벗꽃 볼 줄은 생각지도 못했고 우연찮게 직장동료를 산에서 만나~

계남근린공원 벗꽃과 원미산 진달꽃을 보기 위해서 신정네거리역 1번출입구를 나와서 신정3동주민센터로~ 계남제1근린공원은 신정3동주민센터 옆 길로 진행해서 신트리1단지아파트 후문으로~ 신트리1단지아파트 후문 맞은편에 있는 계남제1근린공원(신정산) 들머리.. 개나리의 학명은 Forsythia Koreana, 영어로는 Korean Forsythia라고 부르고 한국이 원산지이다. 개나리는 수꽃과 암꽃이 있는데 수술이 암술 위로 솟은 것은 수꽃이고, 암술이 수술 위로 솟은 것은 암꽃이다. 수술이 암술 위로 솟아서 개나리 수꽃.. 계남제1근린공원(신정산) 정상에 있는 장군정.. 개나리꽃과 벗꽃을 바라보는데 여기가 천상낙원이라는 생각이~ 계남제2근린공원에 위치한 능골정에서 오류중학교로~ 아름다운 벗꽃을 계남근린공원에서..

2021.04.01

호암산(2021.3.29)그래도 속세보다는 이곳 산중이 Pradise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던~

황사경보와 초미세먼지 경보가 동시에 내렸고 비상저감조치도 발령되었고 올해 들어서 대기질이 가장 안 좋다고 하고 외출을 자제하라고 하지만 산행도 하고 천주교 삼성산성지 순례도 할 겸 호암산을 찾았다~ 호암산 산행을 석수역 1번출입구를 나와서 호암산숲길공원에서 시작~ 황사와 미세먼지가 심해서 외출을 자제하라는 방송이 나와서 그런지 사람들이 눈에 많이 안 띄었는데 덕분에 호젓한 산행을 했다~ 술을 좋아하는 들바람! 진달래꽃을 보면 송강 정철(松江 鄭澈)의 장진주사(將進酒辭)가 생각나지~ 장진주사(將進酒辭) / 송강 정철(松江 鄭澈 1536~1593) 한 잔(盞) 먹새 그려 또 한잔 먹새 그려 곶 것거 산(算) 노코 무진무진(無盡無盡) 먹새 그려 이 몸 주근 후면 지게 우희 거적 더퍼 주리혀 매여 가나 유소보장..

2021.03.30

박달산(2021.3.25)아름다운 진달래꽃길도 걸어 보고 오랜만에 윤관장군묘도 찾아보았던~

6년 전 2015년 3월 구파발역에서 333번버스를 타고 유일레저버스정류장에 내려서 박달산 산행을 시작했는데 지금은 유일레저가 없어져서 정류장 이름이 마장3리로 바뀌었고 제연낚시터에서 시작해도 된다. 이번에는 박달산에서 우암산으로 연계산행을 하기 위해서 연신내역에서 774번버스를 타고 광탄면사무소로~ 버스에서는 광탄면행정복지센터를 광탄면사무소로 안내방송~ 광탄면행정복지센터 옆에 박달산으로 진행하는 등로가 있지만 사거리에서 우측 마장호수 방향으로 진행해서 신산터널과 청송 심씨 재실 사이로~ 신산터널과 청송 심씨 재실 사이로 진행해서 6.25 때 전사한 국군 장병께 참배를 하고 박달산 산행을 시작~ 국군 제1사단은 봉일천전투(奉日川戰鬪)에서 북한군의 진격을 3일이나 늦추는 데 성공했고, 대한민국정부가 서울에..

2021.03.26

노고산(2021.3.23)진달래꽃이 아름답게 활짝 피어 있어서 잠시 꽃대궐 속에 빠져들었던~

북한산 숨은벽능선을 오르면서 바라보던 노고산을 찾기 위해서 구파발역에서 704번버스(34번버스도 운행)를 타고 흥국사버스정류장으로~ 들바람! 3년 전 2018년 2월 흥국사에서 점심공양 참 맛있었지~ 사곡마을은 3년 전부터 개발이 한창이었는데 그동안 주위 모습이 많이 변했다. 고깔제비꽃은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꼬깔제비꽃이라고도 하며 산지 나무그늘이나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5cm이다. 땅위줄기는 없고 땅속줄기는 통통하며 마디가 있다. 잎은 뿌리에서 2~5개 모여나며 심장 모양을 이룬다. 잎 길이 4~7cm, 나비 4~8cm 정도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가는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10~25cm이고 턱잎은 바소꼴이며 길이 7~10mm이다. 4~5월에 붉은 자주..

2021.03.24

청계산(2021.3.19)노루귀 군락지를 찾지 못해서 아쉬움이 남았던~

아름다운 노루귀도 찾아보고 청계산 산행도 하고 싶어서 청계산입구역 2번출입구를 나와서 원터골입구쉼터로~ 영춘화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중국 원산이며 중부 이남에서 관상용으로 심는다. 높이 3m까지 자라고 수피는 회갈색이고 새로 난 가지는 네모지며 진녹색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옆으로 퍼지고 땅에 닿은 곳에서 뿌리가 내리며 능선이 있고 녹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3~5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이른 봄 잎보다 먼저 피고 노란색이며 각 마디에 마주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6개이며 향기가 없고 수술은 2개이다. 봄을 맞이하는 꽃이라는 뜻을 가진 영춘화(迎春花)는 개나리와 닮았는데 꽃잎으로 구별을 할 수 있다. 영춘화 꽃잎은 6장...

2021.03.21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서독산(2021.3.16)아름다운 노루귀를 찾았는데 활짝 피지를 못하고 잔뜩 움추려 있어서~

광명시에 위치한 4개의 산 연계산행을 하면서 아름다운 노루귀를 찾아보고 싶어서 철산역 2번출입구를 나와서 도덕산으로 진행해서 구름산으로~ 도덕산은 철산역사거리를 건너서 수미용실로~ 수미용실은 도덕산을 처음 찾았을 때 8년 전에도 있었는데 수미용실 맞은편에서 김밥을 사서 도덕산으로~ 도덕산 야생화단지를 가르키는 이정표를 따라서 진행~ 도문산에는 전나무가 많이 심어졌다. 전나무는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젓나무라고도 한다. 젓나무라는 표기는 식물학자인 이창복이 전나무에서 젖(우유)이 나온다고 해서 비롯되었다. 높이 40m, 지름 1.5m에 달하는 고산 식물로서 풍치수로 흔히 심는다. 나무껍질은 잿빛이 도는 흑갈색으로 거칠며 작은가지는 회갈색이고 털이 없거나 간혹 있고 얕은 홈이 있..

2021.03.20

용왕산 봉제산 우장산 수명산 궁산 치현산 개화산(2021.3.13) 서울식물원호수공원과 한강공원을 찾아서 야생화 탐방을 하였던~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한 7개 산을 연계산행하고 싶어서 먼저 염창역 3번출입구에서 시작해서 용왕산으로~ 용왕산은 양화대교 방향으로 진행해서 양천구청 이정표를 조금 지나 영일산기(주)에서 옆으로 진행해서 성문교회로 뒤로~ 성문교회 뒤에 있는 용왕산 들머리.. 운동장에서 신목중학교로 바로 진행할 수도 있지만 용왕정으로 진행해서 운동장 좌측으로~ 용왕산 정상에 있는 용왕정으로~ 용왕산(龍王山)은 서울시 양천구 목동 중앙로에 위치한 높이 87m 산.. 용왕정 유래.. 용왕정에서 월촌방향으로 진행해서 도로를 가로질러 농구장으로 진행해서 신목중학교로~ 산수유는 층층나무목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산지나 인가 부근에서 자란다. 높이 4∼7m이다. 나무껍질은 불규칙하게 벗겨지며 연한 갈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

2021.03.15

수리산(2021.3.10)아름다운 노루귀 변산바람꽃 꿩의바람꽃 소식이 들려서 찾았는데~

아름다운 노루귀 변산바람꽃 꿩의바람꽃을 찾아보고 싶어서 명학역 1번출입구를 나와서 수리산으로~ 지난해에는 명학역에서 성결대학교 사거리로 이동해서 성문교회 좌측에서 수리산으로 진행을 했는데 올해는 성문교회 우측에서 수리산으로~ 성문교회를 지나서 빌라 사이로 진행하면 수리산 들머리가 있다~ 빌라 앞에 있는 수리산 들머리.. 명학역에서 관모봉까지 53분만에 도착했는데 태을봉까지는 1시간 15분만에 도착.. 슬기봉까지는 2시간 17분만에 도착.. 수암봉까지는 3시간 05분만에 도착.. 봄의 전령사인 생강나무 노란 꽃을 바라보는데 이젠 정말 봄이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생강나무는 녹나무목 녹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산지의 계곡이나 숲 속의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3~6m로 자라며 나무껍질은 회색을 띤 갈색이며 매끄..

2021.03.11